
오자경 (metalic.O)
분야
공예
직업
금속공예가
생년월일
670213
학력
- 2005 이태리 Academic Del Gioiello 연수
- 2002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졸업
- 1990 홍익대학교 금속조형 디자인 졸업
- 2002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졸업
- 1990 홍익대학교 금속조형 디자인 졸업
경력
● 현재
- 제주도미술대전 초대작가
- 한국미술협회 회원
- 국립제주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융합디자인학과 강사
- metalic.o 공방 운영
● 개인전
- 2007 오자경 장신구전(제주문예회관)
- 2007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 개인부스전(삼성코엑스)
- 2015 오자경 금속공예전(제주문예회관)
- 2016 오자경 장신구전(제주 심헌갤러리)
- 2020 오자경 금속공예전(아트인명도암)
- 2021 오자경 금속공예전(플레이스꽃섬)
● 단체전
- 2002~2020 제주미술협회전
- 2002~2020 제주디자인협회전 외 다수
- 국제아트페어전 (Jacob K.javits Center, New Yotk, USA)
- 제주현대미술관특별기획전
- 제주도미술대전 초대작가
- 한국미술협회 회원
- 국립제주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융합디자인학과 강사
- metalic.o 공방 운영
● 개인전
- 2007 오자경 장신구전(제주문예회관)
- 2007 서울무역전시컨벤션센터 개인부스전(삼성코엑스)
- 2015 오자경 금속공예전(제주문예회관)
- 2016 오자경 장신구전(제주 심헌갤러리)
- 2020 오자경 금속공예전(아트인명도암)
- 2021 오자경 금속공예전(플레이스꽃섬)
● 단체전
- 2002~2020 제주미술협회전
- 2002~2020 제주디자인협회전 외 다수
- 국제아트페어전 (Jacob K.javits Center, New Yotk, USA)
- 제주현대미술관특별기획전
수상 경력
- 제주도 기능경기 대회 심사
- 제주 세계델픽대회 현무암 제작
- 국립제주박물관 유물재현(선사시대 옥 귀걸이)
- 제주도 미술대전 대상
- 제주공예품 공모전 대상
- 제주도 관광상품 공모전 은상
- 대한민국 관광상품 공모전 동상
- 대한민국 공예품 공모전 중소기업청장상
- 제주 세계델픽대회 현무암 제작
- 국립제주박물관 유물재현(선사시대 옥 귀걸이)
- 제주도 미술대전 대상
- 제주공예품 공모전 대상
- 제주도 관광상품 공모전 은상
- 대한민국 관광상품 공모전 동상
- 대한민국 공예품 공모전 중소기업청장상
홍익대학교에서 금속 조형 디자인을 전공하고
20대 후반에 제주도에 입도하여 제주의 자연에서 소재를 찿으며 작품을 제작해 왔다.
현재는 유수암에 공방을 마련하고 국내외 전시에 참여하며 활발한 전시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제주도 미술대전 초대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내가 사는 섬 제주의 자연은 독특하다. 오름, 바다, 곶자왈이 그렇다.
제주 전역에 분포하여 누구든지 접근이 용이한 오름 또한 매번 다른 아름다움을 선사한다..제주의 바다는 검은색 현무암과 조화를 이루면서 짙고 푸르다
그 중 특히 매료되었던 소재는 돌 이었다.
나의 주된 작업중
’돌과 바람이 만든 이야기‘는 표면적으로 보이는 제주의 아름다움과 평온함이 아닌 제주의 이면, 오랜 시간 힘들게 버티며 단단해진 자연과 특징적인 대상인 돌과 바람에 대한 표현이다.
20대 후반에 제주도에 입도하여 제주의 자연에서 소재를 찿으며 작품을 제작해 왔다.
현재는 유수암에 공방을 마련하고 국내외 전시에 참여하며 활발한 전시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제주도 미술대전 초대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내가 사는 섬 제주의 자연은 독특하다. 오름, 바다, 곶자왈이 그렇다.
제주 전역에 분포하여 누구든지 접근이 용이한 오름 또한 매번 다른 아름다움을 선사한다..제주의 바다는 검은색 현무암과 조화를 이루면서 짙고 푸르다
그 중 특히 매료되었던 소재는 돌 이었다.
나의 주된 작업중
’돌과 바람이 만든 이야기‘는 표면적으로 보이는 제주의 아름다움과 평온함이 아닌 제주의 이면, 오랜 시간 힘들게 버티며 단단해진 자연과 특징적인 대상인 돌과 바람에 대한 표현이다.